Protocol

프로토콜 Protocol

  • 네트워크 환경 내 모든 기기가 서로 통신하며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면, 각 기기에는 사전 협의된 통신 협약/규약이 필요
  •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
  • 신호 체계, 인증, 그리고 오류 감지 및 수정 기능을 포함
  • 구현되는 방법은 독립적이나,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그리고 때로는 모두를 사용하여 구현

TCP/IP

  • TCP 프로토콜의 특성과 IP 프로토콜의 특성을 합친 것
  • IP주소 체계(IP 프로토콜의 특성)를 통해, 신뢰성 높은 데이터 송수신(TCP 프로토콜의 특성)을 보장
    •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버전은 TCP/IP v4
    • TCP/IPv6는 현행 v4의 IP주소 구조를 확장해, IP주소 고갈/부족 문제를 해결

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

  • 하이퍼 텍스트 웹페이지를 제공, 제어하는 프로토콜
    • 인터넷 홈페이지/웹페이지는 기본적으로 HyperText Markup Language(HTML)로 제작

FTP File Transfer Protocol

  • 파일 송수신 만을 위한 최소한의 환경만 제공
    • HTTP 프로토콜로도 파일 송수신이 가능하나, 많은 파일을 처리하기에는 부적합

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& POP Post Office Protocol

  • 인터넷으로 이메일을 보내고 받을 때도, 서버와 사용자간 상호 규약이 필요
  • 메일 보낼 때는 SMTP 프로토콜을, 받을 때는 POP 프로토콜을 사용
  • 수신 프로토콜로 ‘IMAP(Internet Messaging Access Protocol)’이라는 프로토콜도 자주 사용

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

post_thumbnail

  • 디바이스가 인터넷 통신을 위해 필요한 3가지
    • IP주소, 게이트웨이 주소,DNS서버 주소의 올바른 설정
    •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회선 통신사에서 1세트를 제공, 할당
    • DNS는 수정 세팅이 가능
  • 인터넷 주소 세트는 통신사 서버가 사용자 PC에 정기적으로 자동 할당하고, 사용자 PC는 이를 받아 자동으로 구성, 설정
    • 이 자동 설정 절차를 위한 프로토콜
    • DHCP 서버가 중복되지 않는 주소를 찾아 자동으로 할당
    • 인터넷 주소는 일정 시간마다 자동 갱신
  • 윈도 운영체제는 DHCP 기능이 기본으로 동작

출처